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아카데미 전문가 Pick 전문가 칼럼

케이패스 언제 도입되고 가입은 어떻게 할까?

최아름 올크레딧 전문가 2023.09.05 조회 22,781

연 최대 57만원 절약할 수 있는 케이패스에 대해 알아보자!

내년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가 중지됨에 따라 각광받는 신규 사업이 있습니다, 바로 K-패스인데요.
 



교통 금액을 절약하기 위해 알뜰교통카드를 쓰던 이들이 많아 K패스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K패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어떠한 부분이 다르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올크레딧에서 정리해보았습니다.
 

K패스란 무엇인가요?

K패스는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비례해 요금을 환급해주는 통합권으로,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요금의 20~53% 적립하여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동한 거리와 무관하며 지출금액대 구분이 있었던 알뜰교통카드와는 달리 K패스는 그러한 구분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K패스 도입배경

알뜰교통카드의 혜택을 받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야 하여 혜택에서 제외되는 사회적 약자가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상대적으로 앱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의 이용이 저조하였기 때문에 K패스는 교통카드 형식으로 교통비를 결제할 때 신용카드와 같은 후불식 결제는 할인된 금액으로 자동 차감시키고, 선불식 카드는 할인 금액을 다음 달에 충전해주는 등 기존 교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에게 기존 알뜰교통카드가 지닌 혜택을 받으려면 앱을 이용해야 하는 접근성적인 문제를 크게 덜었습니다.
 

K패스의 도입 시기와 가입 방법은?

내년 7월 알뜰교통카드가 중지됨과 동시에 K패스가 도입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쓰던 사람이라면 K패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신규로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현재 뚜렷한 가입 방법에 대해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의견은 없습니다, 하지만 지자체와 카드사 등과 같은 관계기관 협의를 할 예정인 것으로 보아 신규 교통카드를 카드사나 지자체를 통해 발급을 받아야 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K패스의 장단점 분석

K패스의 장점은 알뜰교통카드와는 달리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일정 비율을 적립한다는 점에서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청년과 저소득층의 교통비 절감이 눈에 띌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1,500원을 기준으로 일반층이라면 연간 21.6만원을 환급받게 되며, 청년층은 32.4만원, 저소득층은 57.6만원을 환급받게 됩니다.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공개한 자료로 보았을 때 단점은 크게 없을 것으로 보이며, 대중교통을 자주 쓰는 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이라 생각이 됩니다.
 

K패스의 향후 방향성은?

K 패스는 알뜰교통카드가 지녔던 문제점 등을 완화하고 나온 사업인 만큼 실제 도입 이후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이용률, 교통비 절감 효과, 사용 후기 등을 면밀히 점검하여야 할 것입니다.

K 패스는 대중교통 이용객들에게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주는 제도이므로 24년 하반기 기대되는 제도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 전문가 칼럼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독자의 신용/금융관련 지식 향상을 위해 정보 및 의견을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본 게시물의 정보 또는 의견은 올크레딧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필요로 하는 지인들에게 알려주세요

태그별 추천칼럼

    추천 금융진단